/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mysetting
/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3:47 5/30
brunch.co.kr
3:47
brunch.co.kr
김영웅
https://brunch.co.kr/@youngwungkim
효과적인 테크교육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학습자의 성장에 대한 민감한 안테나를 바탕으로 UX Writing 과 행동제안을 잘 합니다. 전문성 발견과 코칭을 곧잘 해냅니다.
저작도구: Kakao Brunch
최종 피드 수집: 2025-02-19 18:16
전체 (116)
2d
프로젝트의 개수만 늘리는, 양적 팽창은 멈춰주세요 - 부트캠프에 대한 상담을 하게 되면, 꼭 받는 질문이 있습니다.
“프로젝트는 몇 개를 해야 할까요?” 매번, 크게 다르지 않은, 일관된 톤으로 답변을 하곤 합니다. 오늘은 이 답변을 한판에 정리해서 전달드립니다. 부트캠프에서 프로젝트를 하려는 분들, 부트캠프를 고민하는 분들에게 꼭 전달되면
0
0
0
읽기모드
6d
나는, 내 지난 경력의 경험들을 신뢰하나요? - 나의 경험을 신뢰하고 재해석하는 관점에서 커리어가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자신의 경력을 물경력이라고 여기곤 합니다. 지극히 꼰대 같은 관점이지만, 저는 아웃바운드된-박스 안 사고방식이 물경력을 만든다고도 판단합니다. 물론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를 제외한다면
0
0
0
읽기모드
11d
이미 그 일을 하고 있나요? - 어떤 무언가가 되고 싶다면, 그걸 바로 시작하세요. 낮은 레벨이라도
이 질문을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드리면 ‘네?!!!‘ 와 같은 당황스러운 답변과 침묵이 이어집니다. 평소에 전혀 생각하지 않았던 질문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도,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어려워하는 개념입니다. 실무에서
0
0
0
읽기모드
12d
스킬을 역량과 같은 밸류로 오해하면 안됩니다. - 역량으로 발휘될 때 스킬이 비로소 의미를 가집니다.
부트캠프 업계에서만 10년 넘게 자리하고 성정해오다보니, 수많은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보게 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정말 많은 양의 이력서를 살펴보게 되면서, 확연히 느끼는 지점이 있었습니다. 그건 바로 ‘스킬셋 = 역량’ 으로
0
0
0
읽기모드
13d
부트캠프 강사가 처음이라면, 피드백을 온전히 맞아보세요 - 부트캠프에서 진짜로 만들어야 하는 건 ( ) 입니다
부트캠프에서 강사와 운영진들이 가장 어려워하고 하기 싫어하는 일이 피드백에 대한 반응입니다. 대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성원들이 제 말을 듣지 않아요. 이게 정답인데, 따르지 않네요. 보내는 피드백이 너무 날카로워서 듣
0
0
0
읽기모드
18d
테크 직군을 포함한 전반적인 취업상황이 어렵습니다. - 전략적으로, 효과를 보는 방향으로 의도적인 노력을 해야만 합니다
저는 취업이 어려워진 원인을 3가지 정도로 분석하고 있는데요. 첫번째는, 인력수급의 과잉입니다. 두번째는, 이력서와 포트폴리오의 동집단 균질화 현상입니다. 셋번째는, 얼어붙은 취업시장을 대비한 뾰족한 전략과 수많은 시도의 부
0
0
0
읽기모드
20d
최신 기술만이 페인-킬러는 아닙니다. - 그렇기에, 설계적인 접근이 요원합니다.
교육업계에서는 최신/심화/고급의 테크지식을 가르치면 뭔가 될 것 같은 미신이 만연합니다. 이 키워드가 붙어내면 고평가를 받는 경향도 꾸준히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최신이라 일컫는 심화/고급 테크를 타지 않으면 유행에 뒤쳐진 인상마
0
0
0
읽기모드
24d
데이터 사이언스 전공, 이대로는 안됩니다. - 과도기적 전공이 아니라, 의미있는 성장여정을 제공해야만 합니다.
제가 직/간접적으로 만나본 학부졸업생 중에서 가장 정체성과 캐릭터에서 장점을 찾기 어려운 집단이 데이터 사이언스 전공이었습니다. 제 경험의 한계일수도 있지만, 대부분 그랬습니다. 학부과정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충분한 트레이닝을 하기
0
0
0
읽기모드
30d
소프트스킬을, 소프트스킬이라는 단어로 접근하면 망하더라 - 10년 넘는 부트캠프 설계/운영과 변화경험을 바탕으로
재작년에 이런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부트캠프, 이렇게 하면 망한다’ 는 글입니다. 트위터에서 굉장히 많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그 글에는 ‘혼자 끙끙 앓고 고립된다.’ ‘학교처럼 주어진 것만 공부하는 망한다.’, ‘완벽함을 추
0
0
0
읽기모드
1M
데이터 분석 직군으로의 취업은 끔찍할 정도로 어렵습니다 - 커리어 포지셔닝에 기반한 전략적인 준비가 절실히 필요합니다.
저는 2015년부터 데이터 관련 부트캠프를 운영하고 설계하며 꾸준하게 센싱을 이어왔고 변화를 누적해왔습니다. 아래 내용은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추정한 원인과 그 기술입니다. 첫째는, 조직 내에서 데이터 분석가 포지션의 역할을
0
0
0
읽기모드
1M
데이터 분석 스타터를 위한 학습추천 2025 ver. - 10년간, 데이터 부트캠프를 설계/운영, 개선한 경험으로 추천드립니다
저는 2015년부터 데이터/AI 분야를 중심으로 부트캠프를 설계하고 운영하고 개선하며 변화를 이어왔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부트캠프에 참여한 많은 구성원들을 만나왔고,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운영하고 개선해왔으며, 실무의 전문가들과
0
0
0
읽기모드
3M
필드플레이어로 돌아간, 10년+ 부트캠프 설계자의 회고 - ‘수료’ 가 아닌 ‘의미있는 성장’ 을 이어내는 부스터의 여정
부트캠프의 현장을 총괄하는 필드플레이어로 복귀해 그 역할을 오롯히 한지 어느덧 한달하고도 반절이 지났습니다. 저는 필드플레이어 - 운영총괄 겸 필드플레이어 - 설계총괄 - 관리총괄 - 사업부 총괄의 트랙을 차근차근 밟아왔습니다.
0
0
0
읽기모드
5M
부트캠프 업계의 문제는 운영자가 대부분이라는 거에요 - 운영자는 문제를 막는데 집중하고, 설계자는 문제를 이용해 변화를 만들어요
부트캠프는 테크교육을 통한 구성원의 커리어 시작과 성장이 그 목표인 프로덕트에요. 목표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어떤 변화를 만들어야하는지가 따라와요. 목표가 분명하면 본질적 목적이 흐려지지 않는 선에서 어떤 변화든 만들 수있어
0
0
0
읽기모드
5M
취준생들이 정말 좋은 부트캠프에 가면 좋겠어요 - 좋지 않은 부트캠프에서는 대부분의 운영진들이 허둥대요.
저는 테크직군으로의 시작과 성장을 돕는 프로덕트인, 부트캠프를 만들고 키워오는 일을 꽤 오래 해왔어요. 그러면서 업계의 성장을 관찰해오고 그 이면에 있는 여러가지 현상을 목격해왔어요. 최근에 목격한 건 좋은 부트캠프를 애타게
0
0
0
읽기모드
5M
부트캠프 커리어 내내 숙원이었던 과정을 런칭했어요 - ‘데이터 분석 역량을 갖춘 프로덕트 매니저’ 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입니다
데이터 PM : 데이터 분석 역량을 갖춘 프로덕트 매니저 양성과정을 만들었어요. 프로덕트 매니저는 지금의 기업들에게 가장 필요한 직군이 되었고, 프로덕트 기획과 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데이터 분석역량은 너무나 필수적인 스킬이에요.
0
0
0
읽기모드
7M
Perplexity 에게 물어봤어요. 그는 누구니!! - 그는 이 업계에서 어떤 변화와 혁신을 만들어왔니. 알려줘
Perplexity 에게 물어봤습니다. 저에 대해서요. 지금부터는 Perplexity 가 답변한 내용입니다. 그는 한국의 부트캠프 업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전문가입니다. 그의 주요 역량과 업계에서의 독특한 포인트를
0
0
0
읽기모드
7M
온라인은 오프라인의 보완재가 아니야. - 온라인에서만 가능한 특별한 인터랙션과 학습의 방법이 있어.
Threads 에 올린 글이라, 반어체로 되어있는 점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2020년~2021년에는 온라인은 오프라인의 보조재로만 생각했어. 어쩔 수 없이 하는 거였지. 대부분은 온라인에서 잘할 생각을하
0
0
0
읽기모드
7M
이기는 게임을 위한 부트캠프 설계와 브랜딩의 힘 - 세부적인 요소가 아닌 총체적인 인지전략을 통해 이기는 방법
Threads 에 올린 글이라, 반어체로 되어있는 점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부트캠프는 어느 시점에 가면 커리큘럼은 비슷비슷해지고 고객들이 커리큘럼에 대한 비교를 하기 어려운 경우도 생겨. 그럴 땐 커리큘럼이나 취업 같은 명시
0
0
0
읽기모드
7M
부트캠프의 한계를 뛰어넘는 부트캠프를 만들고 있습니다.
저는 우리나라에서 부트캠프를 주제로 가장 많은 경험과 고민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중 하나입니다. 국비교육과정을 오래 해오신 분은 정말 많지만, 부트캠프에서의 성장에 대해서 고민하고, 정말 좋은 성장을 부스트하기 위한 설계와 운영,
0
0
0
읽기모드
8M
습관적 교육운영의 관행을 벗어나기 - 수많은 교육운영매니저들에게 쏟아내고 싶은 마음속 이야기
사람은 자신이 경험한 그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그 한계속에서 닥달할 뿐이다. 부트캠프 업계의 가장 큰 문제도 여기에 있다. 학습과 성장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해보지 않고, 인지적 전략의 변화를 체험해보지 못하고는, 자신이 배
0
0
0
읽기모드
About
Badge
Contact
Activity
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