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mysetting
/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12:00 5/31
blog.naver.com
12:00
blog.naver.com
양병규
https://blog.naver.com/delmadang
초막이나 궁궐이나
저작도구: naver blog
최종 피드 수집: 2025-03-14 22:45
전체 (100)
20h
<강한 인공지능론 #15 정리> 98. 사람 같다! (2)
사람의 말을 찰떡 같이 알아듣는 기특한 녀석.. 귀여운 녀석.. 신통방통한 녀석.. 그런 녀석이 만들어지려면 두 번째로 중요한 포인트는 작업기억이다. 장기기억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이 아니고 '사람다운 인지와 해석과 표현'이 되려면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d
<강한 인공지능론 #15 정리> 97. 사람 같다!
'강한 인공지능론'이라는 주제로 블로그에 글을 쓴지 올해로 10년이 됐다. 10년에 짧은 글 100편이니까 아주 간략하다. 너~무 간략하다. ㅎㅎ 처음엔 50편으로 마무리했었는데 아쉬워서 50편 더 늘려서 100편으로 끝내기로 했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2d
<강한 인공지능론 #15> 96. 인류는 다 같이 잘 살 수 있는가?
솔직히 나도 정답은 모른다. 지금 상황이라면.. 아니 지금이 아니어도 먼 옛날부터 있었던 일들을 봐도 일류가 단 한 순간이라도 전쟁 없이 갈등 없이 살아온 날들이 있었는가. 나처럼 교회 다니는 사람들은 그래도 에덴동산에서 한 때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1d
<강한 인공지능론 #15> 95. 내가 좋아하는 계란 후라이 스타일..
3월 첫 월요일이다. 매주 월요일은 레코딩 수업 랫슨을 진행하는 날이다. 오래 전부터 취미 생활로 라이브 공연 영상 촬영이나 (유튜브 채널도 10년 됐음. 주로 합창이라 재미 없음. 찾아보지 마셈) 혹은 예전에는 앨범 녹음도 많이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3d
<강한 인공지능론 #15> 94. 너무 큰 무대일 수도..
2025년. 어느 새 1월이 지나고 2월인 줄 알았는데 오늘이 삼일절이라네.. 대한독립 만세~ 🇰🇷 2000년 1월 2일에 "나는 키트같은 인공지능을 만들 것이다"라고 스스로 다짐했었는데.. 하~ 25년이라니.. 만으로 25년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4d
<강한 인공지능론 #15> 93. 가진자의 것?
어느 영화였나? 유전무죄 무전유죄. 빈익빈 부익부하고는 약간 다른.. 사회의 법 조차도 절대 값이 아닌 상대 값으로 만들어버리는 그런 표현이었다. 잘못을 해도 가진 자와 없는 자가 평가의 기준이 달라지는 듯한 그런 현상들. 자본주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5d
<강한 인공지능론 #15> 92. 가시덤불
뉴욕에 처음 갔을 때 비행기 안에서 창 밖에 보이는 풍경 속에 익숙한 것이 눈에 띄었다. 자유의 여신상. 아! 미국이구나.. 그렇다. 미국은 실제로 있었다. 저 머나먼 엄~~~청나게 멀디 먼 달도 거의 매일 내 눈으로 보면서 살아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6d
<강한 인공지능론 #15> 91. 탈옥을 꿈꾸는 것일까?
강한! 인공지능이 우리에게 진짜로 필요한가, 왜 필요한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언제나 그랬듯이 내 이야기의 주제는, 그리고 내가 벌써 25년째 씨름하고 있는 것은 강한인공지능이다. 우리 일상에서 강아지 같기도하고 조수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언제나 몇 번이라도 (Always with me) 클래식기타 3중주
https://youtu.be/VRLIkvOrwrM?si=GJQOU30Z93bDJAnu
✔ 구시렁 구시렁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언제나 몇 번이라도 (Always with me) 클래식기타 3중주
https://youtu.be/VRLIkvOrwrM?si=GJQOU30Z93bDJAnu
✔ 구시렁 구시렁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10월에 어느 멋진 날에 (Serenade to spring) 클래식기타 3중주
https://youtu.be/rFljCMAuHlc?si=StyldPjH-q6iWYgG
✔ 구시렁 구시렁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강한 인공지능론 #14> 90. 강한 인공지능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 (10)
삼성서울병원 일을 할 때 나랑 같이 일하고 싶다고 해서 찾아온 친구가 있었다. 두 시간 정도 대화를 하고 같이 잘 해보자고 했는데.. (그 친구는 집이 전라도였고 그 때문에 애들하고 온 가족이 서울로 이사를 왔다. ) 그 친구는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강한 인공지능론 #14> 89. 강한 인공지능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 (9)
플랫폼의 전반적인 구조는 사람과 비슷하게 구성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애초에 진짜 사람도 아니고 사람의 구조를 내가 잘 아는 것도 아니므로 진짜 사람 같을 수는 없고.. 강한 인공지능의 플랫폼 구조를 어떻게 디자인해야 구현이 가능하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강한 인공지능론 #14> 88. 강한 인공지능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 (8)
기억이나 감정보다 더 중요한 부분이 바로 의식이다. 어쩌면 컴퓨터라는 장치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가 의식이 아닐까 한다. 강한 인공지능의 어플리케이션은 의식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인공지능의 성격이나 취향을 직접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강한 인공지능론 #14> 87. 강한 인공지능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 (7)
운전 중에 속도 제한 표지판을 인지하고 행동에 옮기는.. 아주 간단한 사례지만 내가 고안하고 있는 강한 인공지능의 구조와 원리를 대략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블로그의 초창기 글에서 여러 차례 밝혔지만, 나는 이 블로그를 '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강한 인공지능론 #14> 86. 인공지능 플랫폼과 프로그래밍 언어 (6)
예를 들어서 기억에서 어떤 내용을 재인하는 과정을 생각해보자. 기억이라는 것이 관점에 따라서 컴퓨터의 메모리나 스토리지와 크게 다르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인간의 기억이 컴퓨터의 메모리나 스토리지와는 목적 혹은 개념적으로만 유사할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강한 인공지능론 #14> 85. 인공지능 플랫폼과 프로그래밍 언어 (5)
실제로 그런 세상이 온다면 다른 어떤 부분보다 가장 신경을 많이 써야 할 부분은 바로 보안일 텐데 원래 이 바닥이 계속 그래왔듯이 작동원리와 구조를 만드는 일과 그것에 대한 보안을 설계하는 것은 같은 일이기도 하면서 다른 일이잖는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강한 인공지능론 #14> 84. 인공지능 플랫폼과 프로그래밍 언어 (4)
정리해보면.. 미래의 소프트웨어는 지금보다 훨씬 더 다양해지고 더 복잡해지고 더 많아질 텐데..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들은 지금처럼 사용자가 사용하기도 하고 강한 인공지능이 사용하기도 할 것이다. 소프트웨어들이 그와 관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강한 인공지능론 #14> 83. 인공지능 플랫폼과 프로그래밍 언어 (3)
그렇다면.. 소프트웨어 개발자라는 일이 전부 다 이공계 계열에서 인문학 계열로 분위기나 주도권이 싹다 바뀌는 건 아닐까? 잠깐 딴 소리 한 마디 하자면.. (딴소리하는 게 일상이지만 😝) 전에 어떤 코너에서 거론 했던 내용인데.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강한 인공지능론 #14> 82. 인공지능 플랫폼과 프로그래밍 언어 (2)
정리하자면, 강한 인공지능 자체는 플랫폼이고, 그 인공지능이 하는 기억, 사고, 감정, 인지, 행동 등 모든 장치를 이용해서 이 인공지능이 어떤 일을 할 수 있게 하거나, 어떤 판단을 할 수 있게 하거나, 뭔가를 알아보고 알아듣고
✔ 강한 인공지능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About
Badge
Contact
Activity
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