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mysetting
/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4:43 5/30
medium.com
4:43
medium.com
Stories by 노정우 on Medium
https://medium.com/@njw990
Stories by 노정우 on Medium
저작도구: Medium
최종 피드 수집: 2025-04-11 19:46
전체 (185)
29d
[CS] 동시성과 병렬성 그리고 비동기
안녕하세요 도깨비 개발자입니다.
익숙한듯 익숙하지 않은 비동기, 동기 그리고 동시성, 병렬성 개념을 한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중 싱글 쓰레드인데 비동기 처리를 지원하는 경우와 멀티 쓰레드를 지원하는 경우를 심심치 않
parallelism
dev
concurrency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M
[k8s] outbound ip 고정
k8s에서 외부 API 서비스를 사용시 outbound ip를 고정해야할때가 있습니다.
GCP GKE에서는 Clount Nat으로 static-ip 설정을 해주는데요.
이때 pod에서 static-ip로 나가는지 확인할 명령어를
dev
outbound
gcp
+ 더보기
k8s
cloud-nat
0
0
0
읽기모드
1M
[NestJs] 직관적으로 VO 생성하기
[NestJs] 직관적으로 vo 생성하기
안녕하세요 도깨비 개발자입니다.
VO(Value Obejct)는 식별자가 없어 값만으로 비교가 가능합니다. Entity는 추적 비용이 발생해 VO도 적절히 사용해줘야하는데요. NestJs에
oop
ddd
nestjs
+ 더보기
dev
0
0
0
읽기모드
1M
[ORM] N:1을 지향하고, 1:N을 지양해야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도깨비 개발자입니다.
쿼리를 직접 짜는 비율을 줄여주는 ORM 기술(Spring의 JPA, Node의 TypeOrm등등)은 요즘 많이 쓰입니다. 엔티티 관점으로 영속성 있는 데이터를 다룰수 있어 저 또한 ORM을 쓰는데
typeorm
orm
dev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AWS] ECS ec2로 private subnet에 배포하기
이전에 ecs를 기본 vpc, (public)subnet에 배포했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으로 outbound가 안되고 있었고, 찾아보니 awsvpc 네트워크 모드를 사용하면 public subnet에 띄워도 인터넷에 outboun
aws
develop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AWS] ECS 테스크 생성이 지연될때
AWS ECS 생성후, 서비스를 통해 테스크를 생성할때 장기간 pending할때가 있습니다.크게 두 원인을 의심할수 있는데요.
1.EC2 인스턴스 역할이 부여되었는지
ecs는 container instance(ec2)에 ecs a
aws
develop
docker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python] 버전 변경
Mac은 기본으로 python3@3.9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버전 업그레이드시 pyenv, brew를 이용해 새로운 버전 설치로 오버라이딩 하면 자연스레 됩니다.
이번 글에선 수동으로 진행해볼까 합니다.
# which python
python
develop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무언가 걸지 않는
“내가 그걸 왜 해. 돈을 줘, 명예를 줘”. 정말 기피해야할 말입니다. 보상 받아야 움직인다는 사고가 깔려있어, 자의적이지 않습니다.
적토마는 그냥 잘 달립니다. 김연아 선수도 그냥 한다고 했었죠. 그들은 그냥 했고, 그냥해서
etc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당연하지
몇몇 사람들에겐 당연하다는 태도가 있습니다. 상호간 협의된 규칙이 아닌데, 이게 맞잖아라는 식의 업무 방식. 문제는 당연의 태도가 전달력을 떨어트립니다.
말은 여러 측면으로 해석 가능합니다. 억양, 분위기, 맥락에 따라 다르고 배
etc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마누라 자식빼고 다 바꿔라
고 이건희 회장님의 어록으로 유명한 “마누라 자식빼고 다 바꿔라”. 일류를 강조한 회장님의 신경영을 대표하는 말이죠. 모든 플레이어들이 한번씩 들은 문장입니다.
요즘 이 문장이 다시 떠오릅니다. 목표를 위해 움직였고, 도달하지 못
etc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실패 회피와 성공 추구
안되는 이유가 먼저 떠오르는건 거듭된 실패때문 아닐까. 되는 이유만 추구했더니 실패했고, 극복하고자 안될만한 이유를 찾게 된게 아닐까. 우리는 실패를 피해야할까, 성공을 추구해야할까.
답은 누구나 아는 성공 추구입니다. 투자할 증
etc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좋아하는 것보단 즐거웠던 순간을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중 무얼 선택할까요?’가 주제인 글과 영상이 많습니다. 미친듯이 좋아한다면 좋아하는걸 선택하라, 뭘 좋아하고 잘하는지 모르니 이것 저것 다 해봐라, 잘하면 좋아진다 등등. 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진심으로
etc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yolov5] ImportError: dlopen(/Users/nojeong-u/Library/Python/3.9/lib/python/site-packages/h5py/_erro
[yolov5] ImportError: dlopen(/Users/nojeong-u/Library/Python/3.9/lib/python/site-packages/h5py/_errors.cpython-39-darwin.so, 0x0
python
yolov5
m1
+ 더보기
develop
0
0
0
읽기모드
1y
[RN] Error: spawnSync adb ENOENT
android-platform-tools 가 없어서 나는 오류다.
아래 명령어로 설치해주면 된다.
brew install --cask android-platform-tools
[RN] Error: spawnSync adb ENOE
develop
react-native
react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Yolov5] No such file or directory: ‘tensorflowjs_converter’
yolov5을 학습후 export시 위와같은 에러가 발생할수 있다.
tensorflow를 다운받으란 의견들이 있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된다면 어떻게 할까?
필자의 경우 고민하다, export 파일의 명령어 부분을 절대경로로
yolov5
develop
tensorflow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NestJs] query, param type전환에 따른 DTO validation
get 요청시 query, param은 무조건 string으로 값이 온다.
NestJs에서 권장한 dto는 class-validator을 통해 유효성 검사가 가능한데, IsNumber이 먹히지 않는 이슈가 있다.
어떻게 할까?
1
developer
nestjs
validation
+ 더보기
0
0
5
읽기모드
1y
유익한 커피챗을 하려면
다양한 주제와 목적으로 커피챗은 진행됩니다. 채용, 이직, 커리어 고민, 조언, 코파운더 서치. 도움을 받고 싶거나, 공감대를 공유 하고 싶을때 커피챗을 진행합니다.
다만, 유익하지 않았던 시간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상대에 대해
etc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NestJs] DTO 유효성 vs constructor 초기화 (when strict mode)
controller에서 파라미터(query, param, body) 유효성을 검사하기 위해 DTO를 사용한다.그런데 코드 품질?을 위해 tsconfig.json에서 "strict: true" 설정을 하면, class 프로퍼티(st
nestjs
developer
dto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Redis] redis WRONGTYPE Operation against a key holding the wrong kind of value
캐시 목적으로 레디스를 사용한다. 종종 위와같은 에러가 발생하는데, 이전 값 타입과 현재 값 타입이 다르기 때문이다. 레디스 데이터 타입은 공식 문서에서 확인할수 있다.
https://redis.io/docs/data-types/
developer
redis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y
뇌는 반사와 숙고. 두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반복된 경험으로부터 맥락적 유사성을 이용한 반사. 작은 하나부터 깊은 고민을 이용한 숙고.
습관되지 말아야할 부분
뇌는 반사와 숙고. 두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반복된 경험으로부터 맥락적 유사성을 이용한 반사.
작은 하나부터 깊은 고민을 이용한 숙고.
중요한건 언제 어떻게 쓰냐다.
빠른 일처리가 필요하면, 최대한 반사
etc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About
Badge
Contact
Activity
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