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mysetting
/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11:12 5/30
blog.naver.com
11:12
blog.naver.com
삽질하는 멍개씨
https://blog.naver.com/pjt3591oo
잔디심기위해 운동하는 개발자입니다. https://stackoverflow.com/story/mung https://github.com/pjt3591oo
저작도구: naver blog
최종 피드 수집: 2025-10-08 13:16
전체 (659)
1d
[서버] 로컬에서 https 이용하기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localias를 이용하면 로컬 환경에서 https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설치하기 homebrew, golang, nix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심플서버 · 서버 등록 · localias
서버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6d
[nano banana] 나노 바나나를 이용하여 멍개 이미지를 좀더 다양하게 만들어보기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제가 기존에 사용하던 멍개의 이미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3개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캐릭터를 만들었습니다. 참고로 이건 nano banana로 만든건 아니고 전에 chatgpt를 이용하여 만들었
인공지능 활용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6d
mongodb의 aggregation과 postgresql의 join 비교하기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최근에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하면서 부하테스트를 진행하였는데 mongodb의 aggregation lookup이 사용된 API에서 병목이 발생을 하였습니다. 이 당시 개발팀에서는 rdb로 마이그레이션을 하기엔
D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8d
[redis] redis cluster 이용시 주의사항 - 개발자 관점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이번 시간은 redis cluster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redis cluster란 shard와 replicator의 조합입니다. redis cluster 모드에서 개발자 관점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을
D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M
[scylladb] 카산드라와 완벽 호환되는 NoSQL 데이터베이스 scylladb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지난 시간에 카산드라를 다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은 카산드라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scylladb를 다뤄보겠습니다. scylladb는 카산드라와 완벽하게 호환되기 때문에 다음 글을 먼저 읽고오는것을 추천드립니
D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M
[카산드라] 분산 NoSQL 데이터베이스 카산드라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이번 시간은 페이스북에서 만든 자바 기반의 분산 NoSQL인 카산드라(cassandra)를 다뤄보겠습니다. ● 개념 카산드라는 마스터 - 슬레이브 구조가 아닌 완전 분산형태의 데이터베이스 입니다. 모든 노드
D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M
[서버] 대기열 서버를 만들어 보았다.
심심해서 대기열 서버를 만들어 보았다 https://github.com/pjt3591oo/waiting-server
서버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2M
[몽고DB] GUI 도구 MongoDB Compass 똑똑하게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이번 시간은 몽고디비의 GUI 도구인 MongoDB Compass를 다뤄보겠습니다. 아무래도 GUI 도구를 설명하는 내용이라 스크린샷 위주로 다룹니다. ● 몽고디비 환경 구성 여기서 다루는 버전은 다음과 같
D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2M
[몽고DB] 몽고디비 시작하기 - 몽고디비의 개념 기초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이번 시간은 몽고디비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몽고디비 모델링 - embedding과 reference 클러스터 - replica set과 sharding 일관된 데이터를 위한 트랜잭션과 격리수준 데이터 조
D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2M
[ollama] ollama를 이용하여 로컬에서 llm 모델을 구동해보자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지난번에 lm studio를 통해 OpenAI와 호환되는 LLM 서버를 구동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오픈소스 기반인 Ollama를 다뤄보겠습니다. ollama의 핵심 컨셉은 도커와 유사
인공지능 활용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2M
[공유] AI는 어떻게 개발자를 10배 성장시키는가: 마스킷의 팀, 개인, 학습 실전 기록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첫 회사 블로그를 작성해보았습니다. https://home.maskit.co.kr/blog/230c6c82-8668-804c-b883-f238dc1b417c
인공지능 활용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3M
[claude] 클로드 4.0을 이용하여 쓰레드 클론하기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claude sonnet 4를 기반으로 쓰레드 클론코딩을 해보았습니다 프롬프트는 쓰레드 스샷을 포함하여 쓰레드를 만들어 달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스타일은 테일윈드를 이용하고 별도의 추가 라이브러리는 사용하지
인공지능 활용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3M
[testcontainers] testcontainers를 이용한 테스트 E2E 테스트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testcontianers를 소개합니다. testcontainers는 테스트 코드 내에서 컨테이너를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입니다. 주로 통합 테스트, E2E 테스트 환경에서
프로그래밍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3M
[keycloak] 로그인, 회원가입 페이지 커스텀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지난 시간에 키클록을 이용하여 oauth2.0 연결을 수행해보았습니다. https://blog.naver.com/pjt3591oo/223922505056 본 포스트에서는 도커 컴포즈 기반으로 구축된 키클록에
서버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3M
[keycloak] 키클록을 이용하여 인증 시스템 구축을 해보자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키클록을 이용하여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다뤄보겠습니다. 먼저, 본 포스트를 보기전에 oauth2.0 개념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https://blog.naver.com/pjt359
서버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3M
[keycloak] 키클록 도입을 위해 이것저것 테스트 중
키클록 1차 테스트로 oauth를 keycloak을 이용하여 access token 받아오기
서버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3M
[보안] 다자간 연산 MPC(Multi-party computation)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키를 관리하는 기법인 다자간 연산(MPC)에서 개인키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서명하는 핵심 기법을 다뤄보겠습니다. 특히 RSA와 같이 개인키 관리가 시스템 전체 보안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보안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3M
[일상] 윈도우 컴퓨터 AI 머신으로 활용하기 위한 ollama 셋팅 완료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최근에 윈도우를 장만하고 AI 머신으로 활용하기 위해 ollama를 설치하여 간단하게 실행을 해보았습니다.
일상...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4M
윈도우 PC 구매
이런 저런 목적으로 윈도우 PC를 샀다.
컴퓨터, Tool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4M
[서버] 포스트맨(postman)을 활용하여 mcp server 테스트하기
안녕하세요 멍개입니다. 이번 시간은 서버를 테스트할 수 있는 도구인 포스트맨(postman)에 추가된 mcp server 테스트 기능을 다뤄보겠습니다. 본 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MCP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https://b
서버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About
Badge
Contact
Activity
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