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mysetting
/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3:40 5/30
brunch.co.kr
3:40
brunch.co.kr
우디
https://brunch.co.kr/@cliche-cliche
글로벌 앱을 만드는 픽소의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재직중이며 디자인 윤리 커뮤니티 ‘인간을 위한 디자인’을 운영중입니다.
저작도구: Kakao Brunch
최종 피드 수집: 2025-05-08 21:16
전체 (121)
2d
포트폴리오에 AI를 어떻게 써야 안 뻔할까? - 디자이너 면접 시 포트폴리오 실무 활용 질문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챗GPT로 요약함, AI 써봄, 퍼플렉시티 사용함... 그런데 이런 문장만으로는, 채용 담당 입장에선 여전히 물음표가 남습니다. 포트폴리오에서 AI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디자이너가 AI를 썼다고 해서 그 자
0
0
0
읽기모드
8d
포트폴리오에 이력서를 통으로 넣지 마세요! - 이력 나열보다 중요한 건 키워드 적합성입니다.
포트폴리오 초반에 전체 이력서를 그대로 붙여 넣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인하우스 프로덕트 디자이너 채용처럼 지원 분야에 적합한 역량’을 빠르게 보여줘야 하는 상황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채용 담당자는 제출된
0
0
0
읽기모드
13d
내 포트폴리오는 어떤 유형일까? 포폴 진단 테스트 - 테스트 결과는 4가지 김밥 중 하나! 내 포폴 스타일은?
UX/UI 포트폴리오 미니 진단 테스트 "포트폴리오가 왜 계속 떨어지는지 모르겠어요.""에이전시는 통과하는데, 인하우스는 계속 탈락중.""문제 해결을 했다곤 했는데, 제대로 전달됐는지 모르겠어요." UX/UI 포트폴리오 코칭을
0
0
0
읽기모드
22d
에이전시 디자이너에서 인하우스 이직을 생각한다면? -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며, 그 효과를 지표로 증명하는 힘?
프로덕트 디자이너에게 진짜 중요한 건 문제 해결력입니다. 에이전시에서의 속도감 있는 작업, 이름 있는 기업들과의 협업, 창의적인 스타일을 소화해 낸 포트폴리오는 분명 매력 있습니다. 하지만 인하우스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이직을 준비
0
0
0
읽기모드
1M
지금, 합격하는 UX 포트폴리오란? - 왜 이렇게 구성했는지? 진솔한 과정이 녹아있는지?
템플릿화된 포트폴리오는 답이 절대 아닙니다. 3~4월 코칭한 UX/UI 멘티 9명이 서류와 최종 합격 소식을 전해왔습니다. 대기업 2명 유니콘 6명 에이전시 1명 합격 멘티 포트폴리오들은 비주얼 중심 구성이 아니었습니다. 대신
0
0
0
읽기모드
1M
구체화란 해답, 디자이너의 날카로운 문제 정의법? - 추상적 고민을 구체적 아이디어로 바꾸는 법
내용의 구체성이 가설의 품질을 높인다. 디자인은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입니다. 그런데 문제 정의 자체가 불투명하다면, 아무리 뛰어난 아이디어도 힘을 발휘하기 힘듭니다. 그래서 최근 디자이너에게 가장 필요한 역량 중 하나는 바로 ‘문
0
0
0
읽기모드
1M
제품팀이 실패율을 줄이기 위해 읽어야 할 한 권의 책 - 인스파이어드: 빌드 트랩에서 벗어난 진짜 제품팀 이야기
혹시 ‘왜’가 아닌 ‘무엇을 만들까?‘에만 집중하는 팀에 계신가요? 스타트업 필드에서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은 이 솔루션이 '진짜 문제를 해결하는가?'입니다. 매일 수많은 서비스와 기능이 홍수처럼 쏟아지지만, 사용자에게 ‘딱 필요
0
0
0
읽기모드
1M
100년을 버틴 디자인, 10년을 남긴 UX - 디지털 UI도 클래식이 될 수 있을까? 그리고 클래식에 대한 애호
디자인은 변하지만, 원형은 남는다 디자인 세계는 빠르게 움직입니다. 해마다 등장하는 새로운 폰트, 스큐어모픽에서 촉감이 느껴지지 않는 미니멀 그래픽, 트렌드에 따라 매번 달라지는 인터페이스가 그렇습니다. 하지만 그 반대편에는 1
0
0
2
읽기모드
1M
기획 제안 포트폴리오와 문제 해결력? - 기획 제안 프로젝트에서도 문제 해결력을 보여주는 법
- 풀 문제가 있는 경우(문제 해결형): 결제 단계에서 이탈률이 높음- 풀 문제가 없는 경우(기획 제안형): 더 쉽게 공유할 수 있는 SNS 기능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포트폴리오 속 내가 제안한 기획에는 풀 문제가 있나요? 최
0
0
0
읽기모드
1M
채용 시, 기억나는 디자이너 면접 답변들 [2] - 디자이너들의 솔직 담백한 면접 답변과 ‘우디’의 시선
디자인 리더 ~ PO 시절 많은 디자이너 분들의 채용을 전담했습니다. 당시 디자이너 분들의 인상적인 말을 기록한 노트가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 특히 기억에 남는 답변 두 번째 시리즈입니다. (약간의 기억 보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0
0
0
읽기모드
1M
[구조화 답변]으로 UI/UX 면접 한 방에 통과하기 - 실전 예시로 익히는 ‘좋은 답변 vs. 나쁜 답변’
면접은 이야기를 나열하는 자리가 아닙니다. 구조로 답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면접장에서 답변이 길수록 좋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불필요한 디테일까지 담긴 답변은 귀중한 면접 시간을 잡아먹고, 질문 의도와 멀어질 위험이 큽니
0
0
0
읽기모드
2M
채용 담당자로 일할 때, 기억나는 디자이너 면접 답변들 - 디자이너들의 솔직 담백한 면접 답변과 ‘우디’의 시선
디자인 리더와 PO 시절 많은 디자이너들의 채용을 전담했습니다. 당시, 면접에서 만났던 디자이너 분들의 말을 경청하며 인상적인 부분들을 기록한 노트가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특히 기억에 남은 디자이너들의 답변 다섯 가지를 공유
0
0
0
읽기모드
2M
어섬션 베이스 : 답이 없는 문제에서 정답 찾기 - 디자이너의 사고법 1
여러분이 사는 동네 김치볶음밥의 평균 가격은 얼마인가요? ‘디자이너의 사고법’ 시리즈의 첫 주제인 어섬션 베이스는, 답이 없어 보이는 문제를 나름의 기준을 세워 최대한 답에 근접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핵심은 계산기처럼 정확한
0
0
0
읽기모드
2M
데이터가 없을 때, 메이즈 120% 활용방안 - 반복 UT로 인사이트 극대화! 메이즈 활용 방안과 한계점까지 솔직 리뷰
목차 1) 메이즈란? 2) 메이즈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7가지 테스트 기법 3) 두 번째 UT에서 주의할 점 4) 메이즈 + 비즈니스 문제 해결 시나리오 4가지 5) 메이즈 UT의 한계, 그리고 비즈니스 맥락 이해 1. 메
0
0
0
읽기모드
2M
디자이너 회사별 JD 분석법 & 카테고리화 전략 - 회사별로 포트폴리오 일일이 만들지 마세요!
우디 님! 회사별로 포트폴리오를 일일이 만들어야 하나요? 취업 코칭을 하며 자주 듣는 이야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회사별로 포트폴리오를 일일이 만들지 않아도 되는 방법을 나눠보겠습니다. 여러 회사의 JD를 꼼꼼히 들여다보면 요
0
0
0
읽기모드
3M
[우디의 문제해결형] UX/UI 포트폴리오 코칭 오픈! - 오픈 베타 1:1 코칭 만족도 4.94점, 비밀은 맞춤형 코칭?
최근 기업이 찾는 포트폴리오에는 비즈니스에 바로 기여 가능한 디자이너의 문제 해결 능력이 담겨 있어야 합니다. '예쁜 답안', '멋진 UX 용어', '좋은 스펙'으로는 디자이너가 되기 힘든 시대가 되었습니다. 특히 기계적으로 찍
0
0
0
읽기모드
3M
채용 담당자를 사로잡는 포트폴리오 라이팅 - 시각적 완성도만으론 부족한, 디자인의 논리를 드러내는 라이팅 노하우
채용 담당자가 읽고 싶은 디자인 포트폴리오의 라이팅은 무엇일까요? 많은 디자이너가 포트폴리오의 ‘시각적 완성도’에 치중합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디자인으로 문제를 해결해 가는 ‘논리 구조’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논리적으로
0
0
0
읽기모드
3M
디자인 취업 고민 뉴스레터를 시작합니다! - 문제 해결형 포트폴리오 꿀팁과 최신 디자이너 채용 트렌드를 얻어가세요!
안녕하세요, 디자이너를 돕는 디자이너 우디입니다. 이번에 디자인 취업고민을 담은 뉴스레터를 시작하게 됐습니다. “디자인 포트폴리오 역시 채용 담당자를 고려한 UX다”라는 가치를 바탕으로, 기업이 진짜 원하는 ‘문제 해결 과정’
0
0
0
읽기모드
3M
BX·UX·CX, 흐려지는 디자인의 경계 - 통합되는 브랜드, 사용자, 고객
많은 기업들에서 디자인을 바라보는 경향이 변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BX(브랜드 경험)와 UX(사용자 경험), 혹은 CX(고객 경험)는 명확히 구분된 서로 다른 영역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감정적 공감(브
0
0
0
읽기모드
4M
실패를 디자인하다: 포트폴리오가 특별해지는 순간 - 포트폴리오에 실패를 담는 새로운 접근법
목차 1. 실패를 기록하는 용기, 왜 필요할까? - Case 1) 예산 삭감으로 중단된 사용자 테스트 - Case 2) 클라이언트 보안 규정으로 데이터 접근 불가2. 실패한 프로젝트 ≠ 실패한 디자이너3. 유의미한 작은
0
0
0
읽기모드
About
Badge
Contact
Activity
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