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mysetting
/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9:39 12/23
jinlee.kr
9:39
jinlee.kr
개발자 이진우
https://jinlee.kr
Hydejack is a boutique Jekyll theme for hackers, nerds, and academics, with a focus on personal sites that are meant to impress.
저작도구: Jekyll v3.10.0
최종 피드 수집: 2025-07-30 19:46
전체 (45)
8d
Spring Boot 멀티모듈 아키텍처 전환기
1. 배경: 왜 모놀리스 아키텍처를 벗어났는가?
1.1. 패키지 우선 분리
1.2 도메인 모듈 분리
2. 목표 설정: 무엇을 얻고 싶었나?
3. 계획 및 단계 설정
4. 측정 환경
5. 성능 변화 (Before & Afte
we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6d
Gradle에서 settings.gradle과 build.gradle의 역할과 차이
📌 Settings.gradle의 역할
주요 기능
빌드 실행 시
📌 build.gradle의 역할
🔍 settings.gradle vs build.gradle 차이
🔍 멀티모듈 빌드 흐름
📝 마치며
📌 Setti
we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8d
Gradle에서 api vs implementation 의존성 스코프 정리
📌 의존성 스코프가 중요한 이유
📌 api와 implementation의 정의
📌 컴파일·런타임 classpath 노출 차이
📌 예제로 살펴보는 모듈 경계
📌 빌드 성능과 캡슐화 효과
📌 선택 가이드라인
📌 마이그레이
we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18d
Gradle에서 settings.gradle과 build.gradle의 역할과 차이
📌 Settings.gradle의 역할
주요 기능
빌드 실행 시
📌 build.gradle의 역할
🔍 settings.gradle vs build.gradle 차이
🔍 멀티모듈 빌드 흐름
📝 마치며
📌 Setti
we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26d
Server-Sent Events(SSE) 구현과 실무에서 마주할 수 있는 문제 해결기
1. Server-Sent Events(SSE)란?
1.1. SSE의 동작 원리
1.1.1. SSE 동작 시퀀스 다이어그램
1.1.2. 재연결 처리 시퀀스 다이어그램
1.2. SSE vs WebSocket v
we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3M
Java로 구현한 Virtual Host 기능과 Host 헤더 이슈 해결기
1. Virtual Host란?
1.1. Name-based Virtual Host
1.2. IP-based Virtual Host
1.3. Port-based Virtual Host
1.4. Virtual Host 방식의
web
+ 더보기
0
0
1
읽기모드
4M
ElasticSearch란 무엇인가?
1. ElasticSearch 소개
1.1. ElasticSearch의 정의와 역사
1.2. ELK 스택(ElasticSearch, Logstash, Kibana)의 개요
2. ElasticSearch의 핵심 특징
database
+ 더보기
0
0
1
읽기모드
4M
Mac에서 ElasticSearch 설치 및 실행하기
1. 시작하기 전에
1.1. 필수 요구사항
1.2. 설치 방법 선택
2. Homebrew를 이용한 설치
2.1. Homebrew 설치
2.2. ElasticSearch 설치
2.3. ElasticSearch 실행
3
database
+ 더보기
0
0
4
읽기모드
4M
RDB와 NoSQL로 살펴보는 데이터베이스 확장성 전략
1. 확장성의 두 가지 패러다임: 수직적 vs 수평적 접근
2. RDB의 전통적 확장성 접근법: 성능과 일관성 우선
2.1. RDB의 수직적 확장 전략
2.2. RDB의 수평적 확장 시도
3. NoSQL의 혁신적 확장성 접
database
+ 더보기
0
0
1
읽기모드
4M
C10K 및 C10M 문제
1. 서론
1.1. “1만명이 접속하는 서버 만들기” 도전
1.2. Dan Kegel의 1999년 도전과 시대적 배경
1.3. 왜 동시 연결 수가 웹 서버 설계에 중요한가?
2. 전통적인 서버 모델과 그 한계
2.1
trend
+ 더보기
0
0
1
읽기모드
4M
Spring Batch 구현 - 멀티스레드 적용
1. 서론
2. 프로젝트 배경 및 문제 상황
3. 멀티스레드 처리 방식 선택
4. 멀티스레드 구현 과정
4.1. ThreadPoolTaskExecutor 구성
4.2. 배치 Step 구성 수정
4.3. 스레드 안전성 확보
we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4M
Spring Batch - 배치 작업과 스케줄러 연동하기
1. Spring Batch와 Scheduler: 명확히 다른 개념
1.1. Spring Batch: ‘무엇을’ 처리할 것인가
1.2. Scheduler: ‘언제’ 실행할 것인가
2. Spring Batch 기본 구조
we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4M
Spring Batch 처리 방식 비교 - Tasklet vs Chunk
1. 서론
2. Tasklet 방식 이해하기
2.1. Tasklet 인터페이스 소개 및 기본 구조
Tasklet 실행 프로세스
Tasklet 인터페이스 구조
2.2. Tasklet 구현 예시
2
we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6M
Java ConcurrentHashMap - 동시성 제어의 이해
1. 들어가며
필자가 이전에 작성한 ConcurrentHashMap을 통한 멀티스레드 환경 및 동시성 제어 알아보기에서 보다 코드 중심적으로 풀어보려 한다.
2. HashMap의 동시성 문제
2.1. 기본적인 동시성 문제
etc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7M
2024년 회고 (Feat. 멋사, 졸업)
서론
드디어 2025년이 되었다. 필자에게 있어서 2025년은 정말 손꼽아 기다린 해인데, 가장 큰 이유는 길고 길었던 대학교를 졸업한다는 점에 있어서 였다. 2023년과 더불어 2024년은 정말 정신없는 해였던 것 같은데,
essay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7M
DDD에서 Usecase 패턴 활용하기
1. 서론
1.1. DDD란?
Domain-Driven Design(이하 DDD)은 도메인 전문가와 개발자가 동일한 언어로 소통하며, 비즈니스 도메인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를 설계하는 방법론이다. 필자는 DDD를 단순한 설계 패
etc
+ 더보기
0
0
1
읽기모드
8M
네이버 헬스케어연구소 개발 인턴 회고
1. 지원과 준비
1.1. 지원 동기
네이버는 필자에게 여러 이유로 합류해보고 싶은 기업이었다. 가장 큰 이유는 네이버라는 기업이 가진 이미지와 가치였다.
예전에 친구와 나눈 워너비 기업에 대한 대화는 흥미로운 통찰을 주었
essay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8M
Spring Component Scan
이전 포스트
Spring Bean
1. Component Scan 개요
1.1. Component Scan이란
Component Scan은 Spring이 어플리케이션의 클래스패스에서 특정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들을 스캔하여
we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8M
Spring Bean
1. Spring Bean 개요
1.1. Spring Bean이란?
Spring Bean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자바 객체(POJO)와 동일한 객체이지만,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생성되고
we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8M
대용량 데이터 API 성능 최적화 전략
1. 개요
대규모 서비스를 운영하다보면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 성능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수만 건 이상의 데이터를 다루는 API에서는 응답 시간 지연이나 메모리 부족 같은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 경험을 떨
web
+ 더보기
0
0
0
읽기모드
About
Badge
Contact
Activity
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