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mysetting
/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3:18 5/30
brunch.co.kr
3:18
brunch.co.kr
김덕현
https://brunch.co.kr/@duk-hyun
융합(convergence), 4차 산업혁명, 기업혁신 등에 대한 글을 쓰는 (정년)퇴임 교수입니다.
저작도구: Kakao Brunch
최종 피드 수집: 2025-03-14 16:16
전체 (121)
2d
타당성 검토, AI G3 전략의 예 - 개념과 통찰-7
타당성 검토의 의미 ‘타당성(feasibility)은 무언가를 만들거나 실행하거나 달성할 가능성, 또는 그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을 가능성(the possibility that something can be made, d
0
0
0
읽기모드
12d
AI 시대, 지식 전문가의 역할 - 개념과 통찰-6
(주) 이 글은 지디넷에 기고한 글과 내용은 거의 같습니다. [기고] "AI 시대, 지식 전문가의 역할", 지디넷코리아 네이버 https://naver.me/5ISnWq1w 전문가의 위기: 경제/사회 여건 변화 톰 니콜스는 <
0
0
0
읽기모드
19d
‘융합교육’을 ‘通涉교육+協業훈련’으로 - 개념과 통찰-5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 '미래사회는 어떤 인재상을 필요로 할까?'라는 주제는 학계와 산업 현장에서 오랫동안 논의해 온 문제이다. 그동안 T자형, 파이(ㅠ)형, A자형, 대(大)자형 등의 인재상이 거론된 바 있다. 도요타가 제시
0
0
0
읽기모드
1M
‘지식/학문 융합’이 아니라 통섭(通涉)과 협업이어야 - 개념과 통찰-4
지식/학문/기술의 융합, 그 의미 지식(知識)은 교육, 학습, 숙련 등을 통해 사람이 재활용할 수 있는 정보와 기술 등을 포괄하는 것이다(위키백과). 지식은 어떤 대상에 대하여 배우거나 실천을 통해 알게 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를
0
0
0
읽기모드
1M
융합은 개방-연결-협업 프로세스 - 개념과 통찰-3
융합: 진화적 수렴-발산 프로세스 (미국 NSF/WTEC, 2013) 융합이 단순히 ‘여러 가지를 섞는다’는 의미로 통용되는 이유 중 하나는 ‘하나로 만든다’는 목표 자체가 쉽지 않은 데다가 용어 자체가 추상적이기 때문일 수도 있
0
0
0
읽기모드
1M
융합과 통섭, 퓨전과 컨버전스 - 개념과 통찰-2
융합이란 단어와의 만남, 실제 경험 200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여러 분야에서 자주 사용하게 된 용어 중 하나가 융합이다. 필자도 이 단어에 꽂혀서 2010년 초에는 본격적으로 몇 가지 활동을 시작하였다. 2003년부터 전임교
0
0
0
읽기모드
2M
개념과 통찰, 시리즈 글 시작 - 개념과 통찰-1
새해, 새로운 시리즈 2025년 새해가 밝았다. 주위는 아직 어둡지만 곧 환한 빛이 비칠 것을 믿는다. 필자는 올해 대학 졸업 후 처음으로, 50년 만에 직장인 신분을 벗고 프리랜서로 일하려 한다. 생물학적 나이로는 ‘은퇴’를 강
0
0
0
읽기모드
2M
디지털 혁신 시리즈를 마치며 - 디지털 혁신-27
필자는 대학에서 산업공학,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서 경영과학(MIS)을 전공했습니다.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원(25년), 벤처기업 임원(14개월), 일반대학 강사(1년), 사이버대학 전임교수(15년)-강사(6년)로 일했습니다. 197
0
0
0
읽기모드
2M
DX 기반: 조직문화의 디지털화 - 디지털 혁신-26
조직문화의 일반적 의미 조직문화는 학자/전문가들이 여러 가지로 정의하고 있는 용어/개념이다. 국어사전은 조직문화를 ‘집단 안에서 개인과 집단이 협력하는 방식을 특정 짓는 가치와 규범, 신념, 그리고 행동 양식의 규정’으로 정의하고
0
0
0
읽기모드
2M
DX 기반: 조직운영의 디지털화 - 디지털 혁신-25
조직운영: 업무방식 + 조직구조 + 조직문화 ‘조직운영’이란 용어는 명확한 정의 없이 단순히 ‘조직을 운영한다’는 의미로 널리 쓰이고 있다. 필자는 조직운영(Organizational Management)을 ‘조직 목표 달성에 필
0
0
0
읽기모드
3M
DX 기반: 구성원 역량의 디지털화 - 디지털 혁신-24
디지털 전환의 중요도: 기술 < 업무 < 조직 < 사람 디지털 전환(DX) 추진 기업 중 상당수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맥킨지에 의하면 전체 DX 프로젝트의 70% 정도가 목표를 달성하지 못
0
0
0
읽기모드
3M
DX 기반: 공급역량의 디지털화 - 디지털 혁신-23
자산, 기량, 역량, 핵심역량, 공급역량, 기업경쟁력 역량(capability)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거나 확보 가능한 자산(resource or asset)과 이를 효율적, 효과적으로 활용해서 성과를 높이는 기량(skill)
0
0
0
읽기모드
4M
DX 실행: 비즈니스 모델의 디지털화 사례 - 디지털 혁신-22
BM 디지털화 사례, 유형 분류 지난 글에서 필자는 ‘비즈니스 모델(BM)의 디지털화’ 결과물인 디지털 BM을 파이프라인 BM과 플랫폼 BM으로 나누었다. 파이프라인 BM은 전통적 가치사슬 즉, 특정 상품을 조달-생산-유통하는 프
0
0
0
읽기모드
4M
브런치북, '플랫폼 생태계와 이해관계자 경영' 발간
제 글을 구독해 주시는 분들께 알려 드립니다. 저는 최근 '디지털 혁신'에 대한 글을 쓰고 있고 그 직전에는 '플랫폼 생태계'에 대한 글을 썼습니다. 10월 26일, '플랫폼 생태계와 이해관계자 경영'이라는 제목의 브런치북을
0
0
0
읽기모드
4M
9. 국가혁신시스템과 플랫폼 생태계
디지털 시대의 국가혁신시스템 국가혁신시스템(NIS: National Innovation System)은 1980년대 이후 발전한 개념으로 대학, 연구기관, 기업, 정부/공공기관 등 액터(actor)가 상호작용을 통해 국가를 발전시
0
0
0
읽기모드
4M
10. 플랫폼 생태계 촉진/규제 정책
플랫폼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부 역할 디지털 경제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긍정적 성과와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만들고 있는 이 시기에 건전한 플랫폼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정부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촉진과 규제’라는 2가지 수단의
0
0
0
읽기모드
4M
11. 에필로그: 플랫폼 사고와 시스템 사고
플랫폼 사고의 의미와 중요성 ‘플랫폼 사고(thinking)’는 공동의 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플랫폼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상호작용(예: 거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고 함께 나누(려)는 사고방식이다. 플랫폼 사고로부터
0
0
0
읽기모드
4M
참고문헌
▪Afuah, Allan, A. Gawer, and T. Kretschmer(2021), “Multisided Platforms as New Organizational Forms”, Academy of Management Pers
0
0
0
읽기모드
4M
5. 플랫폼 생태계의 의미와 가치
플랫폼 생태계(PE)와 이해관계자 Tiwana(2014)는 플랫폼 생태계(PE)의 멤버를 ① 리더(또는 제공자)를 중심으로 생산을 담당하는 상류(Upstream)의 부품 납품자, 제조 파트너, 인프라 제공자, IP 라이센스 제공자
0
0
0
읽기모드
4M
6. 플랫폼 기업의 전방위 혁신 전략
기업혁신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4W1H 모형 필자는 모든 기업활동을 5개 영역으로 나눈 개념모형인 4W1H 모형(김덕현, 2012)을 기반으로 기업혁신 영역을 가치혁신, 상품혁신, 운영혁신, 역량혁신, 유통혁신 등으로 나눈 ‘전방
0
0
0
읽기모드
About
Badge
Contact
Activity
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