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mysetting
/users
/posts
/slides
/apps
/books
3:18 5/30
brunch.co.kr
3:18
brunch.co.kr
김덕현
https://brunch.co.kr/@duk-hyun
융합(convergence), 4차 산업혁명, 기업혁신 등에 대한 글을 쓰는 (정년)퇴임 교수입니다.
저작도구: Kakao Brunch
최종 피드 수집: 2025-07-29 04:46
전체 (133)
3d
AX 발전 단계, 가설과 탐구할 이슈 - AI 전환(AX)-4
AI 전환(AX) 여건, 기술/경제 측면 디지털 혁신은 지난 반세기 동안 디지타이제이션, 디지털라이제이션, 디지털 전환(DX) 등 3단계를 거쳐 이제 AI 전환(AX)으로 넘어가고 있다. AX의 근간인 AI는 1950년대에 등장했
0
0
0
읽기모드
18d
AI 유스케이스와 AI 모델 매칭 - AI 전환(AX)-3
목적과 수단의 올바른 매칭 지난 글에서 소개한 것처럼, Top-down 방식으로 접근하든 Bottom-up 방식으로 접근하든 AI 전환(AX)을 추진함에 있어서 개념증명(PoC: Proof-of-Concept)을 해 볼 유스케이스
0
0
0
읽기모드
1M
AI 전환(AX)의 의미와 접근방법 - AI 전환(AX)-2
이 글은 필자의 저서 <디지털 혁신, DX에서 AI 전환으로>(부크크, 2025. 6.) 중에서 일부를 발췌한 것임을 밝혀 둡니다. <AI 전환(AX)의 정의와 특성> 6.2절에서 AI 자체의 의미를 이해했다면, 이제 AI를 활용
0
0
0
읽기모드
1M
아마도 마지막이 될 전문서 '디지털 혁신' 출간
2010년에 10인 공저로 '융합경영'이란 제목의 저서를 출판한 이래 금주에 6번째 저서인 '디지털 혁신, DX에서 AI 전환으로'를 부크크(Bookk)를 통해 출간했습니다. 2024년에 브런치 스토리에 올린 시리즈 글을 기초로
0
0
0
읽기모드
1M
AI의 범위와 유형, 생각 넓히기 - AI전환(AX)-1
문제 제기 인공지능(AI) 관련 정책이나 기업 전략에 대한 논의를 살피다 보면, 'AI = 생성형(Gen) AI' 또는 'AI는 컴퓨터 과학/공학의 한 분야'라는 인식을 가진 분들이 많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쓸데
0
0
0
읽기모드
1M
기술 중심 vs. 시장 중심 접근 - 개념과 통찰-13
<기술과 시장, 초점의 차이, 줌인-줌아웃 필요성> 개인이나 집단의 편향된 사고와 행동의 예로 ‘공급자(또는 생산자) 관점’과 ‘수요자(또는 소비자) 관점’이라는 2가지 상반된 유형을 볼 수 있다. 또, 맥락은 조금 다르지만, ‘
0
0
0
읽기모드
2M
'국가 AI 전략' 재정립과 운영 개선 제안 - [기고글] 교수신문, May 2025
필자는 지난 5.7(수)부터 5.21(수)까지 3회에 걸쳐 위 제목의 글을 교수신문에 기고하였다. 아래는 3개 글 중에서 핵심 부분을 발췌, 가공한 것이다. (원문은 기사 링크를 클릭, 확인바람). 정부는 지난해 9월 국가 AI
0
0
0
읽기모드
2M
공급자/생산자 관점 vs. 수요자/소비자 관점 - 개념과 통찰-12
'공급자/생산자 관점'과 '수요자/소비자 관점'의 차이 1980년대 말쯤까지 기업 경영자는 통상 생산자 관점에서 의사결정을 하곤 했다. 기업이 제품을 만들면 수요자/소비자들은 군말(?) 없이 그것을 구매, 사용하던 시기였기 때문이
0
0
0
읽기모드
3M
AI 시대의 개인/집단 학습과 메타인지 - 개념과 통찰-11
개인이나 집단의 편향된 지식의 문제점 개인이나 집단 간 이해관계의 대립은 잘못된 지식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기에 지식 자체와 그것을 만드는 교육/학습 시스템에 대한 점검과 개선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개인이나 집단이 저출산,
0
0
0
읽기모드
3M
이해관계 대립과 차이 좁히기 - 개념과 통찰-10
개인/집단 간 이해관계 대립 vs. 견해 차이 특정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참여자 간 이해관계가 대립하는 바람에 합리적인 결론에 이르지 못할 때가 있다. 우리 사회가 지금 경험하고 있는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의 여러 가지 갈등
0
0
0
읽기모드
3M
아는 것과 이해하는 것, 관점과 초점의 차이 - 개념과 통찰-9
아는 것과 이해하는 것, 4가지 지식세계 하나의 대상을 놓고 이해관계자들이 서로 다른 견해를 갖는 것은 한편으로는 당연하면서 바람직한 일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극복해야 할 문제점이기도 하다. 서로 다른 견해가 건설적 비판과 토론
0
0
1
읽기모드
4M
전문가 협업 플랫폼을 통한 지식재생산 - 개념과 통찰-8
새로운 용어/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 필요성 최근, AI가 정부, 기업, 그리고 일반국민에게도 커다란 관심사가 되면서 그와 관련한 다양한 용어들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판단형 AI, 생성형 AI, 추론형 AI, 에이전틱 A
0
0
0
읽기모드
4M
타당성 검토, AI G3 전략의 예 - 개념과 통찰-7
타당성 검토의 의미 ‘타당성(feasibility)은 무언가를 만들거나 실행하거나 달성할 가능성, 또는 그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을 가능성(the possibility that something can be made, d
0
0
0
읽기모드
4M
AI 시대, 지식 전문가의 역할 - 개념과 통찰-6
(주) 이 글은 지디넷에 기고한 글과 내용은 거의 같습니다. [기고] "AI 시대, 지식 전문가의 역할", 지디넷코리아 네이버 https://naver.me/5ISnWq1w 전문가의 위기: 경제/사회 여건 변화 톰 니콜스는 <
0
0
0
읽기모드
5M
‘융합교육’을 ‘通涉교육+協業훈련’으로 - 개념과 통찰-5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 '미래사회는 어떤 인재상을 필요로 할까?'라는 주제는 학계와 산업 현장에서 오랫동안 논의해 온 문제이다. 그동안 T자형, 파이(ㅠ)형, A자형, 대(大)자형 등의 인재상이 거론된 바 있다. 도요타가 제시
0
0
0
읽기모드
5M
‘지식/학문 융합’이 아니라 통섭(通涉)과 협업이어야 - 개념과 통찰-4
지식/학문/기술의 융합, 그 의미 지식(知識)은 교육, 학습, 숙련 등을 통해 사람이 재활용할 수 있는 정보와 기술 등을 포괄하는 것이다(위키백과). 지식은 어떤 대상에 대하여 배우거나 실천을 통해 알게 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를
0
0
0
읽기모드
5M
융합은 개방-연결-협업 프로세스 - 개념과 통찰-3
융합: 진화적 수렴-발산 프로세스 (미국 NSF/WTEC, 2013) 융합이 단순히 ‘여러 가지를 섞는다’는 의미로 통용되는 이유 중 하나는 ‘하나로 만든다’는 목표 자체가 쉽지 않은 데다가 용어 자체가 추상적이기 때문일 수도 있
0
0
0
읽기모드
6M
융합과 통섭, 퓨전과 컨버전스 - 개념과 통찰-2
융합이란 단어와의 만남, 실제 경험 200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여러 분야에서 자주 사용하게 된 용어 중 하나가 융합이다. 필자도 이 단어에 꽂혀서 2010년 초에는 본격적으로 몇 가지 활동을 시작하였다. 2003년부터 전임교
0
0
0
읽기모드
6M
개념과 통찰, 시리즈 글 시작 - 개념과 통찰-1
새해, 새로운 시리즈 2025년 새해가 밝았다. 주위는 아직 어둡지만 곧 환한 빛이 비칠 것을 믿는다. 필자는 올해 대학 졸업 후 처음으로, 50년 만에 직장인 신분을 벗고 프리랜서로 일하려 한다. 생물학적 나이로는 ‘은퇴’를 강
0
0
0
읽기모드
6M
디지털 혁신 시리즈를 마치며 - 디지털 혁신-27
필자는 대학에서 산업공학,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서 경영과학(MIS)을 전공했습니다.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원(25년), 벤처기업 임원(14개월), 일반대학 강사(1년), 사이버대학 전임교수(15년)-강사(6년)로 일했습니다. 197
0
0
0
읽기모드
About
Badge
Contact
Activity
Terms of service
Privacy Policy